공과대학은 미래의 과학기술 및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유능한 인재를 배출함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전공지식 응용능력과 종합적 설계능력, 정보지식 습득능력과 국제화사회에 대한 적응 능력을 갖춘 공학도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는 실무교육 중심대학이다.
공과대학은 주로 기계계열학과와 건축건설계열학과로써 1개 학부(건축학부)와 5개 학과(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외 4개), 1개 계약학과(건축기계설비공학과), 1개의 대학행정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 130명, 교직원 40여명, 학생 5,000여명이 소속되어 있는 공학교육의 전당이다. 4년제 공과대학이 배출한 인력은 40,000여명으로 회사, 연구소, 정부 및 그 산하기관의 중견인사로서 우리나라 산업 및 경제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창의적인 사고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
21C 과학기술시대에서 공학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적인 사고력이며, 산업체에서 엔지니어에게 요구하는 중요한 능력은 자기에게 맡겨진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이다.
전공지식 응용하는 전문 인재 양성
산업체에서 엔지니어에게 요구하는 능력은 학교에서 또는 평소에 습득한 전공지식을 현장에 적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일이다. 우리 공과대학에서는 전공관련 이론 및 실무는 물론 이들의 현장 적용 능력을 갖춘 공학도를 양성한다.
실용적이고 종합적으로 설계하는 실무 인재 양성
산업현장에서는 산업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기계요소, 공정 또는 공장의 설계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설계능력을 요구한다. 복합 학제적 팀의 구성원으로서의 실용적이고 종합적인 설계 능력을 갖춘 공학인을 양성한다.
국제화 사회에 적응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며 평생 학습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보지식 습득 능력이 필요하며, 엔지니어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국제화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소양을 갖추어야 한다.